2006년 한나 아렌트 탄생 100년을 기념하여 학자들이 모였다. 그리고 다양한 생각을 나누고, 한 권의 책이 탄생했다. 여러 시각으로 접근한 한나 아렌트 연구들. 읽는 동안 구체적인 텍스트의 내용보다, 한 사람을 향한 많은 열정들이 더 마음에 닿았다. 많은 사람들이 한나 아렌트에게 가지는 관심과 애정. 덕분에 그녀가 궁금해졌다. 한나 아렌트를 알게 된 것은유대인이었던 한나 아렌트가 <예루살렘의 아이히만>를 내놓으며 유대인의 편에 서지 않았다는 것 때문에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는 사실이 너무나 유명했기때문이다. 그 유명세 덕에 그녀의 이름과 한 권의 책을 귀동냥으로 들었을 뿐,한나 아렌트가 정치철학자였다는 사실도 이 책을 통해 알았다.그리고 이 책을 통해 그녀가 다양한 시각으로 소외 되고 있음을 느꼈다.유대인이지만 유대인 편에 서지 않았기에 유대인으로부터 소외되었고, 정치철학자였으나 베버처럼 직접 정치를 하며 생각을 펼칠 수 없었기에 정치에서 소외되었고, 여성이지만 여성 노동력에 대하여 남성적인 사고를 한다는 비판으로 페미니스트로부터 소외당했다.비전공자의 지성으로 꼼꼼히 텍스트를 읽기가 쉽지 않아 완독을 하지 못하였음에도, 그녀의 소외 가 보여 안쓰러웠다.시간이 지나도 셰익스피어의 작품이 계속 읽히는 것을 두고 그것은 시간이 지나 계속해서 다른 해석이 가능하기때문이라는 말을 해주신 분이 계셨다. 한 학자를 두고 이렇게 다양한 시각의 접근이 가능한 것도 그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.그러나 문득, 한 사람의 사상을 이해하려는 연구들. 그것은 그녀가 난해한 학문을 연구한 학자이기 때문만은 아니라는 생각을 했다.타인을 이해한다는 것은 얼마나 어렵고도 수고스러운 일인가. 어려운 책을 앞에 두고 다소 시시하지만 꽤 근사한 영감을 얻은 것 같아 기분 좋은 독서였다.
한나 아렌트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「한나 아렌트와 세계사랑(Amor Mundi)」이라는 주제 아래 열렸던 학술회의에서 발표된 한나 아렌트 관련 논문을 한 권의 책으로 엮었다. 1975년 사망하기까지 억압과 폭력, 대량살상과 생명 경시가 일상사처럼 번지던 20세기의 한 복판을 살면서 인간적 삶의 정치적 조건들을 깊이 체험한 끝에, 고대 그리스 시대에 꽃피웠던 것과 같은 직접 민주주의 정치의 패러다임을 재음미하고 현대적 인간 실존의 지평을 한층 넓히고 높이며 또 깊일 것을 제안한 한나 아렌트의 정치철학을 깊이 있게 연구하였다. 이 연구를 통해 현대 정치철학의 거장인 아렌트의 정치이론과 철학을 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.
머리말
제1장 한나 아렌트의 일관된 주제로서의 말과 정체성과 실천적 보편성 _김선욱
제2장 한나 아렌트의 ‘새로운 시작’ 개념과 그 변형 _홍원표
제3장 아렌트 정치-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레비나스 ‘타자(the Other)’ 개념의 문제 _서유경
제4장 권력현상에서 생활현상으로 : ‘정치’에 대한 란다우어(G. Landauer)와 아렌트(H. Arendt)의 이해와 현대적 의미 _김영일
제5장 정치와 철학 사이에서 : 근대, 그리고 막스 베버(Max Weber)와 한나 아렌트(Hannah Arendt) _최치원
제6장 한나 아렌트에 대한 페미니즘의 수용과 전망 _김인순
제7장 한나 아렌트의 ‘탄생성’(natality)의 교육학과 왕양명의 ‘치량지’(致良知) : ‘공적 감각’(公的 感覺)과 ‘지행합일’(知行合一)의 인간교육을 위해서 _이은선
제8장 아렌트의 ‘정치적’ 헌정주의 _김비환
제9장 한나 아렌트, 탈정치화(Entpolitisierung)와 인간 삶의 형태로서의 정치(Politik als Lebensform) _임경석
제10장 탈속과 귀환의 중도에서 만난 아렌트 _ 고옥
카테고리 없음